자료구조 (2) 썸네일형 리스트형 [자료구조] 트리, 힙, 시간복잡도 *** 아래의 내용은 패스트 캠퍼스 자료구조 강의 자료(이준희 강사님 저)를 강의를 들으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. *** 1. 트리 트리 (Tree) 구조 트리: Node와 Branch를 이용해서, 사이클을 이루지 않도록 구성한 데이터 구조 실제로 어디에 많이 사용되나? 트리 중 이진 트리 (Binary Tree) 형태의 구조로, 탐색(검색) 알고리즘 구현을 위해 많이 사용됨 알아둘 용어 Node: 트리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본 요소 (데이터와 다른 연결된 노드에 대한 Branch 정보 포함) Root Node: 트리 맨 위에 있는 노드 Level: 최상위 노드를 Level 0으로 하였을 때, 하위 Branch로 연결된 노드의 깊이를 나타냄 Parent Node: 어떤 노드의 상위 레벨에 연결된 노드 C.. [자료구조] 큐, 스택, 링크드 리스트, 해쉬 테이블 *** 아래의 내용은 패스트 캠퍼스 자료구조 강의 자료(이준희 강사님 저)를 강의를 들으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. *** 1. 큐 가장 먼저 넣은 데이터를 가장 먼저 꺼낼 수 있는 구조 음식점에서 가장 먼저 줄을 선 사람이 제일 먼저 음식점에 입장하는 것과 동일 FIFO(First-In, First-Out) 또는 LILO(Last-In, Last-Out) 방식으로 스택과 꺼내는 순서가 반대 어디에 큐가 많이 쓰일까? 멀티 태스킹을 위한 프로세스 스케쥴링 방식을 구현하기 위해 많이 사용됨 (운영체제 참조) 출처: http://www.stoimen.com/blog/2012/06/05/computer-algorithms-stack-and-queue-data-structure/ 2. 스택 스택은 LIFO(Last.. 이전 1 다음